티스토리 뷰
어떤 제품을 구입해도 빠짐없이 만나게 되는 것이 있다면 바로 위에서 언급한 '사용설명서'에 대한 안내문이다. 사용설명서라고 하는 것이 어떤 제품을 사용하려면 알아두어야 하는 사항들을 일목요연하게 적어놓은 내용들로 가득한다. 그런데 사용자들은 사용설명서를 잘 읽지 않는다.
물론, 사용설명서를 읽지 않아도 어느 정도 제품의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는 자신감도 있겠지만... 보통은 새로운 제품에 대한 궁금증도 있으며, 또 사용설명서가 복잡하고 잘 이해되지 않아서인 경우도 있다. 특히, 해당 제품에 대한 설치등을 특정 업체에서 '전문 기사님'을 통해서 처리해주는 경우는 더욱 더 사용설명서를 읽지 않는다.
그래서 이번 포스트에서는 U+ Wi-Fi100의 '무선AP 기능'을 확인해보려고 한다. 위에서 잠깐 언급한 것처럼 다른 무선AP와 달리 U+의 Wi-Fi100은 직접 전문기사님이 방문해서 설치하고 관련 내용에 대해서 설명해 줄 뿐만 아니라... 궁금한 점을 물어보면 자세히 추가설명까지 해주니 '사용설명서'가 없어도 된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은 것은 당연하다.
무선AP라는 것이 'Wi-Fi'기능을 제공하는 기능이외에도 몇가지 특장점을 갖고 있는데... 어렵지 않은 내용인 만큼 이번 포스트를 통해서 꼭 기억해두어야 하는 부분만 간단히 확인해보자!
무선AP를 조작(컨트롤, control)하려고 생각한다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역시 '무선AP 접속'이다. 무선AP의 '무'자도 모른다고 해도 이 부분은 상식선에서 당연한 것이다. 무엇인가를 조작하려면 가장 먼저 그것을 만져야 한다는 것처럼... 무선AP에 '인터넷'을 통해서 접속하는 것이 첫번째 과정이다.
무선AP에 인터넷 회선(랜선, 랜케이블)을 연결하고, 컴퓨터들을 연결했다면 해당 컴퓨터에서 '인터넷브라우져'를 실행하고 주소표시줄에 아래와 같은 주소를 입력한다.
http://192.168.123.254
위에 '192'로 시작하는 주소(IP주소)는 내부IP로 무선AP를 통해서 제공되는 IP이다. 즉, 무선AP에 연결된 것들은 이 주소를 같이 이용하므로 접속이 가능하지만, 무선AP에 연결되지 않은 외부 컴퓨터(회사나 PC방등)와 스마트폰(3G통신)에서는 접속이 불가능하다.
[참고] 내부(사설)IP와 외부(공인)IP가 무엇인가요?
IP를 쉽게 말하면 '숫자로 구성된 주소'이다. IP는 내부와 외부로 나뉘는데... 내부는 어떤 범위(집, 회사등)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외부는 모든 인터넷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외부IP가 무조건 좋은건 사실이지만... 노출이 많이 되어서 보안에 취약할 수 있다는 점과 함께 외부IP 사용을 위해서는 '비용'이 발생한다는 단점도 있다.
내부IP는 회사에서 VPN이라는 장비(소프트웨어)나 가정에서 무선AP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 많이 듣게 되는데... 보통은 192.168.0.X 나 10.10.1.X와 같은 형태로 사용된다.
무선AP에 접속하면 가장 먼저 보이는 것이 바로 무선AP의 상태정보 메뉴에 있는 '인터넷 연결 정보'이다. 쉽게 말하면 사용자가 사용하는 무선AP에 설정된 가장 기본적인 내용들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꾸며놓은 화면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가장 기본적이고 꼭 기억해야 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위에 있는 내용은 필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U+ Wi-Fi100의 무선AP 설정값들이다. 흐리게 표시되는 부분은 개인적으로 중요한 정보라서 흐리게 표현하였다. 혹시, 위와 같은 정보를 외부에 노출할 때는 특히 흐리게 표시된 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자.
[참고] 흐리게 표시할 정도로 위에 있는 정보가 중요한가요?
위에서 흐리게 표시한 부분은 '비밀번호'가 아니지만... 정말 중요한 부분이다. IP와 맥어드레스는 외부에서 내부(집)의 무선AP로 접속할 수 있는 고유한 정보라고 생각하면 된다. 세상에 하나뿐인 정보들인 만큼 저것들이 노출되면 보안에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고 혹시라도 관련 정보를 외부에서 노출하게 된다면 특히 '흐리게 표시된 부분'은 주의하자!
도표에 있는 정보들 중 몇가지를 점선으로 표시했는데... 외부IP관련 정보, DNS관련 IP 정보, 무선AP 접속주소, 컴퓨터관련 무선AP정보가 중요한 부분이다. 간단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외부IP관련 정보 : 일반 가정에서는 '고정IP'를 사용하지 않는다. 물론, ISP관련 업체(U+, SK브로드밴드등)가 고정IP를 할당시 추가비용을 받기 때문에 자동으로 할당되는 유동IP를 부여받는데... 특징은 무선AP를 켜놓은 상태라면 유동IP도 변화되지 않고 한개의 주소를 계속사용한다. 'IP갱신'부분은 무선AP를 켜놓은 상태이지만 할당된 IP주소를 새롭게 받으려고 수동으로 갱신하는 것을 말한다.
DNS관련 IP 정보 : 우리가 인터넷을 할 때, www.naver.com과 같은 글자로 된 주소를 입력하면 숫자로 된 IP로 바꾸어주는게 DNS의 역할이다. 이 역할을 해주는 DNS서버를 어떤 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인터넷 속도에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가끔 오동작으로 인터넷이 사용안 될 정도로 중요한 부분이다.
무선AP 접속주소 : 무선AP에 접속하기 위한 주소이다. 초기값은 192.168.123.254이지만... 기억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자신이 원하는 IP 주소를 할당해도 된다. 필자의 경우는 192.168.0.1로 무선AP의 접속주소를 변경하였다.
컴퓨터관련 무선AP정보 : 컴퓨터에서 무선을 사용하기 위해 Wi-Fi를 검색할 때 나타나는 무선AP의 Wi-Fi명, 비밀번호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U+ Wi-Fi100의 무선AP 뿐만 아니라 용산이나 테크노마트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무선AP에도 빠지지 않는 것이 'IP'와 '맥어드레스(MAC address)'이다. 네트워크의 기본이 되는 만큼 중요한 '핵심단어'이다. 물론, 쉽게 설명하기에는 워낙 다양한 곳에서 사용하지만... 기본 중의 기본인 만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정도로 설명해보면 다음과 같다.
IP : IP(아이피)는 우리가 쉽게 생각하는 '우편번호'라고 생각하면 된다. 주소라는 개념으로 생각해도 틀리지 않지만... 우편번호처럼 IP는 숫자로만 되어있으니 '우편번호'로 기억하자! 우편번호를 통해서 우리는 주소가 갖고 있는 정보 중 몇가지를 알 수 있듯이 IP를 가지고 컴퓨터의 상태, 위치등의 정보를 알 수 있다.
맥어드레스 : 모든 물건에 '이름'이라는 고유명사가 있듯이 컴퓨터에도 '컴퓨터명'은 있다. 하지만, 컴퓨터명이라는 것이 언제나 변경이 가능하고 중복될 수 있기 때문에 고유한 이름을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 맥어드레이스이다. 12:34:56:78:90:AB와 같은 형태로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장비들에는 세계에서 하나뿐인 고유한 맥어드레스가 할당되어있다.
IP와 맥어드레스는 네트워크라는 부분에서는 중요한 데이터라는 점에서 간단하게만 살펴보았다. 특히, IP는 내외부에서 어떤 장비(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해서 필요하며, 맥어드레스는 장비(컴퓨터)를 조작하기 위해서 필요하므로 기본적인 정의 정도는 알아두는 것이 좋다.
무선AP 설정으로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 있을까? 보다 자세한 내용은 차후 '하편'에서 자세히 만나보고 이번 상편에서는 간단한 내용만 살펴보자!
내부 네트워크 설정
[메뉴 : 기본설정 > LAN설정 > 내부 네트워크 설정]
무선AP의 IP주소와 DHCP(자동 IP 할당)구간을 설정한다. 무선AP의 IP주소는 본인이 기억하기 좋은 내부IP중 하나를 할당하면 된다. DHCP구간의 경우는 사용자가 장비에 고정IP를 할당하는 구간을 정하듯 자동으로 IP가 할당되는 DHCP구간을 정하면 그 IP구간에서 새로운 장비가 등록될때 자동으로 IP가 할당된다.
WAN 설정
[메뉴 : 기본설정 > WAN설정]
무선AP에 연결된 전체 컴퓨터들이 사용하는 대표IP에 대한 유동IP/고정IP/PPPoE방식 등을 설정하며, DNS서버를 지정한다. 보통 DNS는 ISP에서 제공하는 값이 기본으로 들어가 있지만... 변경이 가능하며, 빠른 DNS 서버를 이용시 인터넷 속도도 빨라질 수 있는 아주 간단한 설정부분이다.
네트워크이름(SSID)
[메뉴 : 무선설정 > 기본설정]
SSID라는 것은 우리가 Wi-Fi를 사용할 때 보여지는 무선AP의 이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보통 무선AP의 제조사가 할당하는 SSID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럴 경우 U+ Wi-Fi100의 경우는 'U+Net****'이라는 비슷한 형태의 SSID가 보여지므로 주변에 U+ Wi-Fi100을 많이 사용하면 헷갈리게 될 수 있다. 특히, 무선AP는 보안(비밀번호)과정이 있지만... SSID가 노출된다는 것이 한단계 외부에 더 노출된다는 것 때문에 일부회사에서는 SSID조차 '숨김'처리하여 무선AP의 보안을 한단계 높여놓는다.
무선 보안 설정
[메뉴 : 무선설정 > 무선 보안 설정]
보통 무선AP의 보안은 '비밀번호'이다. 물론, 간단하게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을 하는 수준보다는 다양한 암호방식을 제공하므로... 본인이 원하는 보안등급을 선택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NAT 설정
[메뉴 : 고급설정 > NAT설정]
포트 포워딩, DMZ 서버, 비정규 FTP, NAT-T등을 제공하는 NAT설정은 '고급설정'에 있듯이 약간 어려운 부분이다. NAT를 쉽게 설명하면... 외부에서 어떤 요청이 들어올때, 그 조건에 맞는 경우의 수를 무선AP 쪽에 NAT로 정해놓으면 그 경로(IP)를 이용하여 연결/접속해주는 것이다.
원격제어 설정
[메뉴 : 고급설정 > 기타설정 > 원격제어]
컴퓨터를 외부에서 컨트롤하기 위한 첫 단계이자 중요한 부분이 바로 무선AP를 컨트롤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192.168.X.X'와 같은 IP는 무선AP 내부에서만 접속이 가능하지만... 유동IP라도 할당된 외부(공인)IP가 있는데 이것을 통해서 무선AP에 어느곳에서나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로 '원격제어'설정부분이다. '사용'으로 설정 후 포트번호를 넣어주면 해당 포트번호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무선AP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Wake On LAN(WOL)
[메뉴 : 고급설정 > 기타설정 > Wake On LAN]
꺼져있는 컴퓨터를 어떻게 조작할 수 있을까? 집에 계신 부모님테 컴퓨터를 켜달라고 한다면 좋겠지만... 그런 부탁을 할 수 없을 때, 무선AP에 등록한 맥어드레스를 통해서 컴퓨터를 켤 수 있다. 이것이 WOL(Wake On LAN)기능이다. 물론, WOL을 지원하는 컴퓨터와 무선AP가 필요하고,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여야 한다. (노트북은 상관없지만, 컴퓨터의 경우는 중간에 전기선을 빼놓았다면 절대 불가능하다)
비밀번호 변경
[메뉴 : 시스템 설정 > 비밀번호 변경]
무선AP 설정을 변경하는 등의 행동을 할 때 물어보는 무선AP 자체의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는 메뉴이다. Wi-Fi에서 사용하는 보안부분과는 별개이며, 이 메뉴의 비밀번호는 모든 설정을 바꿀 수 있기 때문에 더 중요도가 높다. 특히, 외부에서 무선AP로 접속할 수 있게 '원격제어'를 활성화하였다면 특히 이부분에 더 많이 신경써서 어려운 비밀번호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무선AP라는 것이 컴퓨터와 인터넷을 연결해주는 하나의 연결고리라고 생각하면 된다. 즉, 이 연결고리가 다양한 방법(유/무선)으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며...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오는 부분도 조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무선AP의 설정에서 NAT부분을 제외한다면 다른 설정은 쉽게 변경하고 조작할 수 있다. NAT부분은 무선AP와 외부장비의 연결이 들어가는 부분인 만큼 연결하고자 하는 장비(컴퓨터등)에 대한 이해도도 필요하다. 이런 경우 일반 무선AP는 열심히 공부해서 설정해야 하지만... U+ Wi-Fi100은 그럴 필요가 없다. U+의 고객센터에 전화해서 문의하면 상세히 관련 내용을 소개해주니까...
필자가 U+ Wi-Fi100을 추천하고, 스스로도 사용하는 이유는 바로 그것이다. 네트워크는 보안을 시작으로 다양한 장비들이 연결되는 만큼 계속 변화한다. 그런 변화에 민감하여 본인이 설정하고 조작할 수 있다면 일반 무선AP도 충분히 제 기능을 하겠지만... 그런 부분이 어렵다면 U+ Wi-Fi100과 같이 ISP 회사에서 제공하는 무선AP를 사용하면 모든 부분의 지원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다음 '하편'에서는 위에서 소개한 메뉴 중에서 꼭 기억해야 하는 부분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