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장보기 마스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도 마찬가지이지만... 앱을 설치하려고 할 때 중요한 것 중 하나가 '앱 이름'이다. 무슨 앱 이름이 중요하냐고 할 수 있지만... 사실, 앱 이름과 앱 아이콘을 통해서 관심을 갖게 되고 설치까지 하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장보기마스터'라는 앱은 필자에게 그런 매력으로 처음 만나게 되었다.
장보기 마스터가 과연 무엇이며, 먹을거리를 위해서 슈퍼부터 대형마트까지 자주 가는 '장보기'를 어떻게 마스터한다는 것일까하는 궁금증 때문이였다.
그럼, 이제 기능 하나하나를 살펴보자! 우선 장보기 마스터앱의 메뉴는 총 3가지이다. 식재료 계산기, 장바구니, 알뜰살뜰! 9가지 법칙 이렇게 3가지인다. 식재료 계산기 메뉴가 장보기 마스트앱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이므로 우선은 '알뜰살뜰! 9가지 법칙'부터 살펴보려고 한다.
꼭 한번씩 읽어보면 좋은 내용이다.
그럼, 이제 '장보기 마스터'앱에서 가장 중요한 '식재료 계산기' 메뉴를 살펴보자! 사실, 이야기에 앞서서 '식재료 계산기'라는 이름만 보고 필자는 당근 OOO원, 대파 OOO원과 같은 가격을 가지고 장보기 예산을 계산해주는 정도로 생각했었다. 그런데 실제 사용을 해보니 전혀 다른 내용이였다.
이번 글에서는 매콤한 닭볶음을 만든다는 설정에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닭볶음이 매콤한 요리이므로 같은 '닭'을 이용하여 재료비를 줄이면서 매콤한 맛을 중화시켜줄 '닭가슴살 샐러드'도 같이 준비하려고 한다. 이때 식재료 계산기가 도와주는 기능은 바로 닭볶음과 닭샐러드라는 요리를 위한 식재료를 알려주는 것이다.
이렇게 '장바구니 담기'를 선택하는 것은 다음 요리인 '닭가슴살 샐러드'의 식자재를 같이 확인하여 한번에 식자재를 구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여기까지 살펴본 '장보기 마스터' 앱의 용도를 생각하면 왜 '마스터'라는 이름이 붙는지 알 수 있다. 하지만, 이 앱의 기능적 아쉬움이 있다면 바로 위에서 식재료 합계를 통해서 얻어지는 정보를 인쇄할 수 없다는 것이다. 요즘 가정에 프린터 한대씩은 준비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할 때, 스마트TV에서 확인한 내용을 바로 인쇄할 수 있도록 해준다면 장보기 마스터 앱은 주부들 뿐만 아니라 장보기를 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편리한 어플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물론, 현재도 인쇄가 되지 않아서 메모를 해야 한다는 불편함은 있지만, 불필요한 식재료 구입등을 막아주는 효자 앱이 아닐까 생각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