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번 포스트에서 소개하는 맛집, 만텐보시는 '맛있다'라는 표현보다 '일본식 맛을 잘 살렸다'라는 표현으로 시작하려고 한다. '일본식 맛'이라고 하면 과연 어떤 맛일까? 보통 일본을 '장수의 나라'라고 이야기하는데 거기의 이유로 '소식(적게 먹는것)'을 떠올린다. 그런데 또 하나의 이유가 있으니 바로 '싱겁게 먹는것'이다. 사실, '싱겁다'라는 것은 굉장히 주관적인 표현일 수 있다. 우리나라 음식의 평균적인 맛에 비해서 싱거운 것이지... 일본 음식들이 대부분 싱겁다라고 한다면 그것은 '싱겁지 않다'는 표현일수도 있다는 것이다.
어찌됐든 우리나라에 있는 음식점인 만큼 해외 메뉴들도 우리나라 사람의 입맛에 맞춰야 한다는 게 가장 '대중적인 음식'으로 되는 쉽고 빠른 길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누구나 그 나라의 메뉴를 그 나라의 특색에 맞춰서 먹는 것을 좋아한다. 예를 들어 김치는 마늘과 고추가루가 들어가야 하고 매콤한 맛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것을 미국이나 일본, 중국에 맞춰서 변화한다면 그것은 어디까지나 '퓨전요리'로 생각될 뿐 그 나라 고유의 맛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런 기준에서 '만텐보시'는 일본의 양식을 맛으로 잘 표현했다. 정말 제대로된 일본 양식을 서울 한 복판에서 느낄 수 있다는 점은 굉장히 매력적이다. 그 맛이 우리 입맛에 잘 맞느냐 아니냐는 것은 개인적인 취향이니까... 참고로, 일본에서 양식은 서구식이 아니라 일본에 독특하게 정착된 서양음식을 이야기한다. 만텐보시 역시 메이지 시대 후기인 1906년부터 내려온 일본 양식의 대표 브랜드이며, 일본의 정치인이나 문화예술인들이 즐겨찾는 곳이다.
그럼 우리나라에 들어온 '만텐보시(2호점, 종로점)'를 구경하며 이야기를 해보자!
이번 포스트는 맛집의 '사진'이나 '분위기'를 전달하려고 하는 것은 아니다. 필자처럼 '실패'하지 않기 위한 방법을 전달하기 위한 포스팅이다. 만텐보시는 인기포털사이트(다음이나 네이버)에서 검색하면 수많은 결과물이 나온다. 하지만 대부분은 '맛있다'라는 평가이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그들이 '일본음식에 적응했다면'이라는 조건이 있을 때 나오는 평가라고 생각한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입맛에 '만텐보시'는 100% 싱겁고 기존 함박스테이크맛이 아니다라고 이야기해야 맞다. 물론, 만텐보시 자체가 일본 음식을 다루는 전통있는 음식점이니 우리나라의 입맛에 맞추지는 않았을께 뻔하다. 하지만 음식점을 찾는 분들이 그런 것을 모른다면 필자처럼 '실패한 맛집'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만텐보시가 '맛이 없다'라는 것도 아니다. 분명히 일본의 맛을 제대로 보여주는 함박스테이크와 오므라이스였다. 그러니 '맛이 있다'는 표현이 보다 사실일 것이다. 하지만 우리 입맛에는 잘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만텐보시를 찾는 분들이라면 본인이 일본식 음식에 어느 정도 적응되어 있는지 생각해보거나 최소한 필자처럼 '일반 함박스테이크'를 기대하며 찾지는 않았으면 한다.
공유하기 링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