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가전 제품을 비롯하여 대부분의 IT 제품의 신제품 주기가 최근에 굉장히 짧아지고 있는 것을 느낀다. 쉽게 말하면 과거 6개월 정도는 '쌔거'라고 이야기하는 신제품이 이제는 3개월이 채 지나기도 전에 '쌔거' 소리를 들을 수 없는 '옛날꺼'가 된다는 말이다. 왜 이렇게 변화하는 것일까?
그 이유는 바로 '소비자들의 실증'이다. 필자 역시 '소비자'의 한명으로 생각해보면 3개월이 지난 제품은 신제품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그만큼 사람들은 제품에 대해서 갖는 생각이 쉽게 쉽게 변화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실증을 빨리 느끼는 이유는 무엇일까?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면서 자꾸 비교를 하게 된다는 것도 이유이지만... 근본적으로 생각해보면 그만큼 소비자들이 똑똑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과거에는 제조회사에서 출시하는 제품을 보고 '신제품'을 생각했다면... 이제는 소비자 스스로가 다음 신제품에 대해서 기대를 하게 되고, 제조회사들은 소비자의 욕구에 맞는 제품을 출시하기에 바쁘다는 것이다. 그만큼 소비자들이 원하는 수준이 높아졌고, 빨라졌다는 것이다.
이렇게 장황한 설명을 하는 것은 출시한지 한달이 채 되지 않은 '갤럭시 노트'의 개봉기를 이야기하기 위해서이다. 분명히 11월에 출시했으니 아직 한달이 채 되지 않은 따끈 따끈한 신제품인 '갤럭시 노트'의 개봉기를 하려고 하는데 인터넷에서는 이미 갤럭시 노트의 개봉기를 너무나 쉽게 만날 수 있다. 그만큼 소비자들이 빠르게 정보를 찾아서 확인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번 포스트에서는 갤럭시 노트의 모습을 조금 더 자세하게 살펴보려고 한다. 박스 개봉기의 경우는 이미 다른 글에서 많이 만났을테니... 이번 글에서는 갤럭시 노트의 모습을 중심으로 이야기한다.
'GALAXY Note'라는 글자 만큼 박스에서 눈에 쏙 들어오는 글자가 있으니 바로 '4G LTE'이다. SK 텔레콤 제품으로 4G LTE 방식인 갤럭시 노트는 3G 모델을 기다려 온 사용자에게 아쉬움을 주는 부분이다. 필자 역시 갤럭시 노트가 3G였다면 하는 아쉬움은 있다. 물론, 4G LTE라는 통신방식이 보다 안정적으로 구축된다면 이 부분에 문제는 없다. 하지만, 현재 SKT의 LTE가 다소 불안정하다는 것 때문에 4G LTE 모델로 출시한 갤럭시 노트에 아쉬움을 갖는 것이다.
위 사진은 갤럭시 노트의 박스 안쪽 모습으로 갤럭시 노트의 제품명인 'SHV-E160S'라는 글자가 적혀있는 간단 사용 설명서가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다. 그 안쪽에는 다양한 악세사리가 기본으로 포함되어있는데...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크기'에 대한 편견이다. 필자의 경우는 다양한 스마트폰을 리뷰하기 때문에 각 스마트폰이 갖고 있는 특징에 대해서 어느정도는 인지하고 있다. 그런데 일반인들은 어떨까? 한번 스마트폰을 구입하면 최소 1년에서 2년은 한가지 제품을 사용한다. 그러니 당연하게 다른 스마트폰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한다. 그런 일반인들이 스마트폰을 보고 '좋다' 또는 '나쁘다'라고 이야기하는 가장 쉽고 빠른 기준은 무엇일까? 바로 '화면(디스플레이) 크기'이다.
화면이 크면 그만큼 비싸고 좋은 제품으로 안다는 것이다. 우스운 이야기처럼 들리는 이것이 현실에서는 너무나 당연한 것이다. 시원스럽게 큰 화면을 갖고 있는 갤럭시 노트는 '갤럭시 노트'라는 브랜드(제품)를 모르는 사람에게도 어필할 수 있는 멋진 스마트폰이다. 물론, 반대로 스마트폰에 대해서 어느 정도 아는 분들이라면 갤럭시 노트의 5.3인치 디스플레이가 좋고 나쁜 평가로 확연히 구분될 수 있다.
대부분의 사용자는 5인치대의 스마트폰이 갖고 있는 시원한 화면을 좋아한다. 하지만, 그 크기가 다소 부담스럽게 느껴지는 건 당연한 단점이다. 스트릭과 베가 넘버5 역시 사용자에게는 '넘사벽'처럼 느껴졌고, 5인치대의 디스플레이의 장점을 잊게 만들며 스마트폰 시장에서 조용히 사라진 것이다.
그런데, 갤럭시 노트는 다르다. 삼성이 만들어서 다른게 아니라 삼성이 제시하는 '슬림(SLIM)'때문에 다른 것이다. 5.3인치의 커다란 화면을 갖고 있지만, 두께는 9mm대로 얇다. 손에 쏙 들어오지는 않지만, 두께감으로는 괜찮은 느낌을 주는 것이다. 화면이 크니까 제품이 클 것이라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다. 그런데 거기에 얇은 두께감이 이런 단점을 조금이라도 장점화 해주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갤럭시 노트를 다른 두 제품과 다르게 생각하는 것이다.
즉, 갤럭시 노트는 '네로 베젤'을 통해서 제품의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커다란 화면을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실제 갤럭시 노트를 보면 좁은 베젤로 인해서 화면이 더욱 커 보이도록 느껴지는 이유가 바로 그것이다.
참고로 갤럭시 노트의 S펜을 다른 스마트폰에서 사용해도 조작되지 않는다. 펜형태라고 해서 일반 시중에 판매되는 스마트폰용 터치펜과는 다르다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필자는 갤럭시 노트에 기본 탑재된 S펜은 급하게 사용할 때를 위한 제품으로 사용하고, 써드파티(3rd) 제품으로 연필(펜)모양의 제품이 출시하였으면 하는 바램이다.
지금까지 갤럭시 노트의 '디자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개인적으로 갤럭시 노트의 5.3인치는 다소 거부감으로 다가왔던게 사실이다. 그런데 실제 갤럭시 노트를 눈으로 보면서 그 생각이 변했다. 이유는 바로 앞에서 이야기한 '네로 베젤'때문이다. 5.3인치라는 디스플레이가 절대 작은 크기는 아니지만 네로 베젤을 통해서 '생각보다 그렇게 크지 않은데...'라는 생각을 갖게 되고, 5.3인치가 갖고 있는 커다란 크기보다는 커다란 화면에 주목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 외에도 갤럭시 노트가 보여주는 전체적인 마무리나 디자인은 실제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만족감을 준다. 이런 작은 부분 하나하나가 '갤럭시 노트를 잘 샀다'라는 첫인상을 심어준다는 것이다. 외관에서 느껴지는 갤럭시 노트의 디자인은 좋은 평가를 주고 싶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