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와 기(忌)제사는 다르다 [원문보기]
추석과 설날 지내는 차례는 조상이 돌아가신 날 지내는 기제사와는 다른 제례다. 따라서 차리는 음식도 약간 다르다. 기제사 때는 메(제삿밥)와 갱(국)을 쓰지만 차례 때는 추석에는 송편, 설에는 떡국으로 상을 차린다. 추석 차례상의 특징은 밥 대신 햅쌀로 빚은 송편과 햇과일을 올린다는 점. 상차림은 다섯 줄이고 차례상은 북쪽에 둔다. 일반적으로 신위를 모신 위치가 북쪽이고, 제주의 위치가 남쪽, 오른쪽이 동쪽, 왼쪽이 서쪽이 된다. 상을 차릴 때는 시접과 잔반을 먼저 올리고, 마지막 줄인 과실류 줄부터 차례로 놓는다. 향로와 향은 제상 앞에 마련한 작은 상 위에 놓고, 상 아래에는 퇴주그릇을 놓는다. 여자 자손은 왼쪽에, 남자 자손은 오른쪽에 선다. 여기까지는 차례의 기본기다.
지금부터 본격적인 상차림을 소개한다. 순서를 제대로 익혀라. 아버지나 큰아버지로부터 “아직도 어디에 뭐 놓는지도 모르냐! 불안해서 제사를 맡길 수 있을지… 쯧쯧”하시는 핀잔은 면할 수 있다. 또한 어동육서, 좌포우혜 같은 용어를 자연스럽게 말하면 조카들의 존경심도 한 몸에 받을 수 있다. 추석이 멀지 않았다. 해피한 추석을 위해 공부 좀 하자.
1 첫째 열
신위 바로 밑에는 시접(수저를 담아 놓는 대접)을 놓고 왼쪽에는 잔반(잔과 받침대), 오른쪽에는 송편을 예쁘게 담아 놓는다. 오른쪽 맨 끝에 일반 백편(얇고 넓게 쪄 여러 장을 쌓아 놓은 떡)을 놓기도 한다. 첫째 줄 양끝에는 초를 놓는다.
2 둘째 열
적(炙)과 전(煎)을 놓는 줄로 어동육서(魚東肉西) 원칙에 따라 육적(육류), 어적(어패류), 소적(두부와 채소류) 순으로 놓는다. 보통 상 왼쪽부터 계적(닭고기), 산적, 육원전(동그랑땡), 동태전, 꼬지전, 두부전, 어적(생선) 순으로 놓는다. 이때 두동미서(頭東尾西)의 원칙에 따라 생선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왼쪽으로 가게 둔다. ‘치’ 자가 들어간 생선(꽁치·갈치·삼치), 비늘 있는 생선(잉어)은 쓰지 않는다.
3 셋째 열
육탕, 소탕, 어탕 순으로 놓는다. 육탕은 고기를 넣어 만든 탕, 소탕은 두부와 채소를 넣어 만든 탕, 어탕은 생선을 넣어 만든 탕을 말한다. 국물 있는 음식(탕·식혜)은 건지만 담는다.
4 넷째 열
좌포우혜(左脯右醯) 원칙에 따라 상 왼쪽부터 포(북어·대구포), 나물, 간장, 김치 순으로 올린다. 오른쪽 끝에는 식혜를 둔다. 김치는 희게 담근 나박김치만을 올린다. 깨끗하고 맑은 음식을 올리는 것이 조상에 대한 예의라고 여기기 때문이다. 삼색나물은 흰색은 도라지, 검은색은 고사리, 푸른색은 미나리를 주로 놓는다.
5 다섯째 열
일반적으로 대추, 밤, 배, 감, 사과, 약과, 한과 순으로 올린다. 홍동백서(紅東白西)의 원칙에 따라 붉은 과일은 오른쪽인 동쪽에 두고,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다. 조율이시(棗栗梨枾)에 따라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감 순으로 올리는데, 조율시이 원칙에 따라 대추, 밤, 감, 배 순으로 올리기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