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노트가 출시한 2011년만 해도 'LTE'는 멋진 결과를 보여주지만 가입하기에는 뭔가 부족했던 모습을 보여주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 이유로 필자의 갤럭시 노트는 3G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2012년 7월. 또 한번의 멋진 LTE 스마트폰이 등장했으니 바로 '갤럭시 S3'이다. 갤럭시 S3는 'LTE의 보급자'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물론 갤럭시 S3 역시 3G 사용자를 위해서 3G와 LTE 모델로 출시했다. 하지만, 주변 사용자들을 살펴보면 대부분이 'LTE버전의 갤럭시 S3'를 사용하고 있다. 분명히 갤럭시 노트가 출시했던 약 반년 전에는 3G냐? LTE냐?를 놓고 고민하던 사용자들이 갤럭시 S3에서는 고민없이 LTE를 선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렇다고 LTE를 선택하는 사용자들이 LTE..
이번 글에서 이야기할 '2GB의 매력'은 참 재미없는 이야기이다. 하지만,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이런 부분까지 알아야 한다는 것은 사실이다.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이 '내 손안의 컴퓨터'라고 불리는 것처럼, '컴퓨터'와 비교해서 이야기를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서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비교하면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요즘 스마트폰이 대중화되고 있는 것처럼, 과거 10여년 전에는 컴퓨터가 대중화되고 있었다. 뭐랄까... 그 전에는 컴퓨터(PC)가 있으면 좋고, 없어도 큰 문제가 없는 하나의 '자랑거리'정도였다면, 인터넷과 함께 컴퓨터는 '꼭 있어야 하는' 또는 '있으면 정말 편리한 제품'으로 인정받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스마트폰도 비슷하다..
3G면 3G, LTE면 LTE 스마트폰을 놓고 3G냐? LTE냐?를 고민했던 경험이 없었던 사용자들에게는 '행복한 고민'이 될 수 있지만, 생각보다 이런 경험이 없었던 만큼 어떤 제품을 골라야 하는지 어렵기만 하다. 국내에 출시된 스마트폰 중 LTE와 3G를 고를 수 있던 제품은 '갤럭시 노트'뿐이었다. 물론, 갤럭시 노트의 경우 LTE로 출시했지만, 제한된 기간동안 3G로도 개통이 가능했기 때문에 3G냐 LTE냐를 골랐던 것이지, 실제로 3G 모델과 LTE 모델이 국내에 출시되지는 않았다. 그런점에서 '갤럭시 S3'는 분명히 지금까지와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만큼 삼성전자의 플래그쉽 모델 또는 주력 모델이라는 점도 생각할 수 있고, 그만큼 3G 모델을 출시하는 SKT의 시장분석도 예리하다고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