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SK텔레콤은 지난 3월 8일까지 '데이터 셰어링(이하, OPMD라고 함)'서비스를 가입한 가입자에 한해서 '무제한 요금제(월 55,000원이상의 스마트폰요금제)'를 사용할 경우 OPMD에 연결된 기기도 무제한으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9일 이후부터는 용량제한(500MB)이 걸리게 되었다. 이런 OPMD 용량 제한은 KT에서도 실시되고 있으므로 이제 OPMD를 통해서 '무제한 무선데이터'사용은 어렵게 되었다.
일반 사용자들은 'OPMD'라고 해도 사실 특별한 감이 오지 않는게 사실이다. 'One Person Multi Devices'의 줄임말인 OPMD를 쉽게 이야기하면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하는 'USIM(유심)'에 1인 5개까지 추가 USIM을 등록하여 추가한 유심은 데이터만 사용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인데... 가장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과 태블릿PC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1개 회선만 개통하여 스마트폰에서는 통화와 무선데이터를 사용하고, 태블릿PC에서는 무선데이터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이런 예는 수많은 OPMD 활용법 중 하나일 뿐이다.
그런데 문제는 일반 사용자들이 OPMD를 이렇게 다양한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냐는 것이다. 사실, 최근 인기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는 정상적인 판매경로를 통해서는 '공기계' 즉 '무약정 구입'이 어렵다. 이동통신사에서 제조업체의 모바일기기를 구입해서 판매하는 방식이므로 3G 데이터를 사용하는 기기들은 대부분 '24개월 약정'과 같이 특정 기간동안 의무사용을 해야 하는 방식으로 판매되고 있다. 그러니 OPMD를 하지 않아도 약정만 적용되면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OPMD를 하고 싶어도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이런 모바일 기기의 경우는 그렇지만, 과거 'T Login'이라는 기기는 일반 사용자들에게 'OPMD'를 잘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SKT에서 판매되었던 'T Login 단말기'를 통해서 OPMD 활용법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OPMD가 좋다고 하는데 지금까지 왜 좋은지 몰랐던 분이라면 이제 그 이유를 살짝 느껴보자!
스마트폰에서 '테더링'을 통해서 다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는 것과 비슷하지만, 특징이라고 하면 '테더링'의 경우는 기기별 연결이 중요하여 3G망의 연결뿐만 아니라 기기간의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도 '테더링'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OPMD 유심을 이용한 '데이터셰어링'의 경우는 이런 기기간의 연결이 없이 바로 3G망으로 연결되므로 보다 빠르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복수개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등을 추가로 사용하는 소비자들에게는 추가 회선 개통에 대한 부담감을 줄여주면서 무선데이터 통신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므로 분명히 'OPMD'는 중요하고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