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10년...
6월29일 : 전파법 개정안 국회 법사위 통과. 주파수 경매제 도입

2011년...
6월22일 : 방통위, 주파수 할당계획 확정 발표. 2.1㎓ 대역 20㎒폭에는 KT와 SK텔레콤 참여 제한. 
6월29일 : 방통위, 주파수 할당 신청 공고
7월28일 : 주파수 경매 신청 마감. KT·SKT, 800㎒·1.8㎓ 대역 모두 신청
8월17일 : 경매 개시. 11라운드 최고 입찰가 4천921억원.
              LG U+ 단독참여로 2.1㎓ 대역 최저 경쟁가격인 4천455억에 낙찰
8월18일 : 21라운드 최고입찰가 5천437억원
8월19일 : 31라운드 최고입찰가 6천5억원
8월22일 : 41라운드 최고입찰가 6천633억원
8월23일 : 51라운드 최고입찰가 7천327억원
8월24일 : 61라운드 최고입찰가 8천93억원
8월25일 : 71라운드 최고입찰가 8천941억원
8월26일 : 81라운드 최고입찰가 9천950억원. KT, 입찰 유예 선언
8월29일 : 9일차 KT, 입찰 포기. 
              SK텔레콤 1.8㎓ 대역 9천950억원으로 낙찰
              KT, 800㎒ 대역 2천610억원으로 낙찰 


  2010년 6월 29일 '주파수 경매제'가 도입되면서 '주파수 전쟁'에 대한 시작 예상되었다. 관련 업종에 근무하는 분들은 이런 '주파수 전쟁'에 대한 이야기를 잘 알고 있지만, 일반 사용자는 다르다. 분명히 SKT, KT, LG U+라는 국내 이동통신사 3사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런 '주파수 전쟁'에 대한 이야기는 남의 일이며, 기껏해야 위에 표시한 '파란색 부분'만 알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주파수 전쟁'이라고 불리었던 2.1GHz, 1.8GHz, 800MHz의 주파수 경매에 대한 내용을 조금 더 알기 쉽게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우선 가장 먼저 이야기할 부분은 주파수 경매가 시작되기 전의 상황을 이야기한다. 즉, 국내 3개의 이통사(이동 통신사)가 보유하고 있는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말한다.


  위에 보이는 정보가 '주파수 전쟁'이라고 불린 주파수 경매가 일어나기 전의 '국내 통신회사들의 주파수 보유현황'이다. 이 부분을 아주 간단하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려면 아래와 같은 표 형식으로 변경해보면 된다.


  간단하게 정리한 위 표에서 빠지는 부분은 SKT의 Wibro(2.3GHz), KT의 Wibro(2.3GHz)와 TRS(800MHz)이다. 이 부분을 제외하고 살펴보면 보다 쉽게 이해가 되는데... 우선 LG U+의 경우는 2.1GHz 대역이 없다. 이 부분을 고려하여 방통위에서는 '만년 3위'라고 불리는 LG U+에서 이번 주파수 경매에서 2.1GHz 대역의 우선권을 준 것이며, 덕분에 LG U+는 최저경쟁가격으로 2.1GHz 대역을 얻었다. 이렇게 2.1GHz 대역의 경매 상황이 종료되자... SKT와 KT는 남은 1.8GHz와 800MHz를 놓고 경쟁을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된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궁금한 것은 왜 800MHz, 1.8GHz, 2.1GHz에서 2.1GHz에 더 많은 관심이 쏠렸던 것일까하는 부분이다. 물론, '주파수 전쟁'이라고 불린 내용에는 1.8GHz 대역이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2.1GHz 대역을 LG U+에 넘겨주었기 때문이지... 3가지 대역이 남아있는 상황이였다면 보다 높은 대역의 주파수인 2.1GHz 대역이 주파수 전쟁의 주인공이 되었을 것이다.


  2.1GHz가 갖는 특징은 '높은 주파수'라는 것뿐일까? 아니다! 2.1GHz 대역이 일명 '황금주파수'라고 불리는 이유는 바로 전세계의 다양한 이동통신사들이 사용하는 '인기 주파수'이기 때문이다. '인기가 많다'라는 것은 그만큼 2.1GHz 대역을 사용하는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단말기의 확보가 용이하며, 관련하여 투자 비용 역시 절감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와 함께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받을 수 있는 데이터의 용량도 올라가며 멀리가고 넓게 퍼지는 주파수라는 (변경)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 유리하다는 것도 또 하나의 이유가 될 것이다. 즉, SKT와 KT는 기존에 2.1GHz 대역을 갖고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왜 우리가 LG U+를 외면했는지 이해가 되는 동시에 2.1GHz를 보유한 LG U+의 행보에 관심이 가는 이유가 된다.



  남은 주파수 대역에서 1.8GHz가 갖는 의미는 무엇일까? 남은 800MHz보다는 데이터 전송도 빠르며, 해외에서도 어느정도 인기가 있는 주파수 대역이다. 앞에서 말한 것처럼 인기가 있는 주파수 대역은 로밍이나 단말기 수급에 좋은 영향을 준다는 것도 잊어서는 안되는 내용이다.

  현재 SKT와 KT는 2.1GHz에서 3G(HSDPA)를 지원하고 있는데... 사용량이 급증하면서 LTE를 2.1GHz에서 지원한다는 것은 어렵다. 그러니 1.8GHz를 할당 받아서 LTE 서비스를 하고 싶은 것이다. 그에 따라서 자연스럽게 '1.8GHz 대역을 놓고 주파수 전쟁'이 시작되는 것이다.



  여기서 몇가지 알아둘 것이 있으니 바로 'LTE'를 놓고 준비하는 이통3사의 모습이다. 우선 SKT를 살펴보면 이번에 1.8GHz 대역을 9천950억원을 들여 낙찰받으면서 LTE 서비스에 대한 준비를 시작했다. 물론, 주파수 대역을 따냈다고 해서 모든 것이 끝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서비스를 위해서 망 구축과 같은 후행작업이 줄줄이 쌓여있는 상태이고, LTE를 1.8GHz에서 지원할지 800MHz에서 지원할지도 지켜봐야 할 내용이다.

  1.8GHz를 빼앗긴 KT는 어떨까. KT는 현재 1.8GHz 대역에서 2G 서비스(PCS)를 하고 있다. 그러니 요즘 KT가 2G 고객들에게 3G 로 전환했으면 한다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물론, 그것은 어디까지나 기업의 사정일뿐이며, KT는 2G 고객들을 포용하는 동시에 1.8GHz 대역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런 '주파수 경매'를 놓고 일반 사용자들이 염려하는 것은 '요금 인상'이다. 하지만, 업계 분위기를 볼 때 갑작스러운 요금 인상은 이루어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LTE 서비스가 본격화 된 이후는 다르다. LTE 서비스가 시작되는 내년이면 각 이통사는 관련된 새로운 요금제를 만들 것이며, 이때 통신망 구축과 빠른 LTE 서비스에 대한 과금이라는 것으로 '요금인상'이 우리들에게 부담으로 돌아오지 않을까 예상도 해본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4/03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